언루 효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루 효과는 진공에서 등가속하는 관찰자가 흑체 복사를 관측하는 현상으로, 윌리엄 언루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다. 이 때 관측되는 흑체 복사의 온도를 언루 온도라고 하며, 로 표현된다. 언루 효과는 매우 미세하여, 실험적 검증이 어렵지만, 가속하는 관찰자에게 나타나는 현상이며, 호킹 복사와 연관되어 연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언루 효과 | |
---|---|
개요 | |
명칭 | 언루 효과 |
다른 이름 | 풀링-데이비스-언루 효과 (Fulling–Davies–Unruh effect) |
분야 | 양자장론 |
현상 | 가속하는 관찰자에게는 진공이 입자로 보임 |
이론적 근거 | 가속하는 기준틀에서 양자장론을 적용할 때 나타나는 예측 |
주요 내용 | 진공 상태의 정의는 관찰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가속하는 관찰자는 열적 평형 상태의 입자들을 감지함 |
관련 인물 | 폴 데이비스 스티븐 풀링 빌 언루 |
설명 | |
주요 내용 | 가속 운동하는 관찰자는 자신이 가속되지 않은 계에서 볼 때 존재하지 않는 열 목욕을 감지함 |
온도 | 온도 (T)는 가속도 (a)에 비례함 T = ħa / (2πckB) (ħ는 디랙 상수, c는 광속, kB는 볼츠만 상수) |
비고 | 매우 작은 효과이므로 실험적으로 검증하기 어려움 |
배경 | |
기원 | 양자장론의 기본 원리에서 비롯됨 진공 상태는 관찰자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음 |
관련 개념 | 블랙홀의 호킹 복사와 유사한 현상 |
응용 및 중요성 | |
응용 분야 | 양자 중력 연구 블랙홀 정보 역설 연구 |
중요성 | 시공간과 양자역학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넓힘 |
실험적 검증 | |
어려움 | 언루 온도가 매우 낮아 직접적인 실험적 검증이 어려움 |
간접적인 증거 | 일부 응집물질 시스템에서 언루 효과와 유사한 현상 관찰 시도 가속하는 전자 빔을 이용한 실험적 검증 시도 |
추가 정보 | |
논쟁 | 언루 효과의 해석 및 존재 여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함 |
참고 문헌 | Fulling, S. A. (1973). Nonuniqueness of Canonical Field Quantization in Riemannian Space-Time. Physical Review D, 7(10), 2850–2862. Davies, P. C. W. (1975). Scalar production in Schwarzschild and Rindler metrics. Journal of Physics A, 8(4), 609–616. Unruh, W. G. (1976). Notes on black-hole evaporation. Physical Review D, 14(4), 870–892. |
2. 역사
1970년대에 스티븐 풀링(Stephen Fulling영어)[41]과 폴 찰스 윌리엄 데이비스(Paul Charles William Davies영어)[42], 윌리엄 조지 언루(William George Unruh영어)[43]가 언루 효과를 독립적으로 발견하였다.
언루 효과에 따르면, 진공에서 고유 가속도 로 가속하는 관찰자는 다음과 같은 온도 (언루 온도)의 흑체 복사를 관찰한다.[5][3][4][6]
언루는 이론적으로 진공이라는 개념이 관찰자가 시공간을 따라가는 경로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증명했다. 가속하는 관찰자의 관점에서 보면, 관성 관찰자의 진공은 열적 평형 상태, 즉 따뜻한 기체처럼 보인다.[9]
1976년 윌리엄 언루는 진공 상태에서 균일하게 가속하는 검출기가 경험하는 유효 온도인 언루 온도를 유도했다.[28]
3. 정의
:.
여기서 는 볼츠만 상수, 는 디랙 상수, 는 빛의 속도이다.
언루 효과는 매우 미세하다. 예를 들어, 2.5×1020 m/s2의 가속도로 가속하는 관찰자는 약 1 켈빈의 흑체 복사를 관찰한다.
언루 온도는 때때로 데이비스-언루 온도라고도 불리며,[5] 폴 데이비스[3]와 윌리엄 언루[4]에 의해 개별적으로 유도되었으며, 진공장에서 균일하게 가속하는 감지기가 경험하는 유효 온도이다.[6] 1974년 스티븐 호킹에 의해 유도된 호킹 온도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7] 등가 원리의 관점에서 때때로 호킹-언루 온도라고도 불린다.[8]
언루는 이론적으로 진공이라는 개념이 관찰자가 시공간을 따라가는 경로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증명했다. 가속하는 관찰자의 관점에서 보면, 관성 관찰자의 진공은 열적 평형 상태, 즉 따뜻한 기체처럼 보인다.[9] 언루 효과는 가속하는 관찰자에게만 나타난다. 양자장론에서 "진공"이라는 개념은 "빈 공간"과 같지 않다. 공간은 우주를 구성하는 양자화된 장으로 채워져 있다. 진공은 단순히 이러한 장의 가장 낮은 ''가능한'' 에너지 상태이다.[9]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두 관찰자는 서로 다른 시간 좌표를 사용해야 한다. 만약 그 관찰자들이 가속하고 있다면, 공유되는 좌표계가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관찰자들은 서로 다른 양자 상태를 보게 되고, 따라서 서로 다른 진공을 보게 된다.[9]
4. 이론적 설명
양자장론에서 "진공"이라는 개념은 "빈 공간"과 같지 않다. 공간은 우주를 구성하는 양자화된 장으로 채워져 있다. 진공은 단순히 이러한 장의 가장 낮은 ''가능한'' 에너지 상태이다.
모든 양자화된 장의 에너지 상태는 해밀토니안에 의해 정의되며, 시간 좌표를 포함한 국소 조건에 기반한다.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두 관찰자는 서로 다른 시간 좌표를 사용해야 한다. 만약 그 관찰자들이 가속하고 있다면, 공유되는 좌표계가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관찰자들은 서로 다른 양자 상태를 보게 되고, 따라서 서로 다른 진공을 보게 된다.
어떤 경우에는 한 관찰자의 진공이 다른 관찰자의 양자 상태 공간에조차 존재하지 않는다. 기술적인 용어로, 이것은 두 진공이 양자장의 정준 교환 관계에 대한 유니타리 비동등 표현을 초래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는 서로 가속하는 두 관찰자가 자신의 좌표 선택과 관련된 전역적으로 정의된 좌표 변환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가속하는 관찰자는 겉보기 사건의 지평선이 형성되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린들러 좌표계 참조). 언루 복사의 존재는 이러한 겉보기 사건의 지평선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호킹 복사와 동일한 개념적 틀에 놓을 수 있다. 반면에, 언루 효과의 이론은 "입자"를 구성하는 정의가 관찰자의 운동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고 설명한다.
자유장은 생성 연산자와 소멸 연산자를 정의하기 전에 양의 및 음의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되어야 한다. 이것은 시간유사 킬링 벡터 장이 있는 시공간에서만 가능하다. 이 분해는 데카르트 좌표와 린들러 좌표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두 좌표는 보골리우보프 변환에 의해 관련되어 있지만). 이것은 생성 연산자와 소멸 연산자를 사용하여 정의되는 "입자 수"가 두 좌표에서 다른 이유를 설명한다.
린들러 시공간은 지평선을 가지며, 국소적으로 임의의 비극단 블랙홀 지평선은 린들러이다. 따라서 린들러 시공간은 블랙홀과 우주론적 지평선의 국소적 특성을 제공한다.[10] 언루 효과는 그러면 호킹 복사의 지평선 근처 형태가 될 것이다.
언루 효과는 또한 드 시터 공간에서도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11]
언루 효과는 균일하게 가속하는 관찰자에 따르면 진공 상태가 온도에 의해 지정된 열적 상태라고 말하며, 동일한 온도에서 서로 다른 열적 상태나 열욕은 동일할 필요가 없는데, 이는 시스템을 설명하는 해밀토니안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특히, 양자장의 진공 상태에서 가속하는 관찰자가 보는 열욕은 관성 관찰자에 따르면 동일한 온도에서 동일한 장의 열적 상태와 동일하지 않다.[12]
4. 1. 린들러 좌표계
민코프스키 공간의 계량 텐서는 린들러 좌표계(Rindler coordinates영어) 에서 다음과 같다.[13]
:
여기서 는 에 위치한 관찰자의 고유 가속도이다. 린들러 좌표계는 직교좌표계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
:
가 일정한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관찰자는 직교좌표계에서 쌍곡선을 그리며, 이는 일정한 고유 가속도에 해당한다.
린들러 좌표에서 시간에 해당하는 좌표 에 대한 병진 변환( translation영어)은 직교좌표계에서 원점에 대한 로런츠 변환( boost영어)에 해당한다. 따라서 린들러 좌표에서 해밀토니언 연산자는 직교좌표계에서의 로런츠 변환 연산자에 해당한다.
4. 2. 유도
민코프스키 공간의 계량 텐서는 린들러 좌표계(Rindler coordinates영어)에서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에 위치한 관찰자의 고유가속도이다. 린들러 좌표계는 직교좌표계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
:
가 일정한 궤적을 따라 움직이는 관찰자는 직교좌표계에서 쌍곡선을 그리며, 이는 일정한 고유 가속도에 해당한다.
린들러 좌표에서 시간에 해당하는 좌표 에 대한 병진 변환(translation영어)은 직교좌표계에서 원점에 대한 로런츠 변환(boost영어)에 해당한다. 따라서 린들러 좌표에서 해밀토니언 연산자는 직교좌표계에서의 로런츠 변환 연산자에 해당한다. 정확히 말하여, 린들러 해밀토니언 가 주어지면, 로런츠 변환 연산자는 가 된다.
로런츠 변환 연산자는 윅 회전(Wick rotation영어)을 거치면 일반적인 회전 연산자가 되므로, 린들러 해밀토니언은
:
을 만족한다. 이는 온도 의 분배 함수와 같다. 따라서 이 관찰자는 온도 의 흑체 복사를 관찰하게 된다.[13]
단위를 복원하면 다음과 같다.
:
5. 관련 개념 및 함의
폴 데이비스[3]와 윌리엄 언루[4]가 개별적으로 유도한 언루 온도는,[6] 진공에서 균일하게 가속하는 검출기가 경험하는 유효 온도이다. 언루 온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여기서 ħ는 환산 플랑크 상수, a는 고유한 균일 가속도, c는 광속, kB는 볼츠만 상수이다. 예를 들어, 의 고유 가속도는 약 의 온도에 해당한다.
언루는 이론적으로 진공 개념이 관찰자가 시공간을 따라가는 경로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증명했다. 가속하는 관찰자의 관점에서 보면, 관성 관찰자의 진공은 열적 평형 상태, 즉 따뜻한 기체처럼 보인다.[9]
양자장론에서 "진공"은 "빈 공간"과 같지 않다. 공간은 우주를 구성하는 양자화된 장으로 채워져 있으며, 진공은 단순히 이러한 장의 가장 낮은 에너지 상태이다.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두 관찰자는 서로 다른 시간 좌표를 사용해야 한다. 만약 관찰자들이 가속하고 있다면, 공유되는 좌표계가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관찰자들은 서로 다른 양자 상태, 즉 서로 다른 진공을 보게 된다. 가속하는 관찰자는 겉보기 사건의 지평선이 형성되는 것을 인지하며, 언루 복사의 존재는 이러한 겉보기 사건의 지평선과 연결될 수 있다.
언루 효과는 드 시터 공간에서도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11]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민코프스키 시공간을 통해 균일한 고유 가속도 a로 이동하는 관측자는 린들러 좌표로 편리하게 설명될 수 있다. 고정된 ρ로 이동하는 관측자는 민코프스키 공간에서 쌍곡선을 그리므로, 이러한 유형의 운동을 쌍곡선 운동이라고 부른다.
언루 효과의 실험적 테스트를 위해 까지의 가속도를 사용할 계획이며, 이는 약 의 온도를 제공할 것이다.[14][15]
언루가 가속하는 검출기가 열적 목욕을 감지할 것이라는 예측은 논란의 여지가 없지만, 비가속 프레임에서 검출기의 전이에 대한 해석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검출기의 각 전이가 입자 방출을 동반하며, 이 입자가 무한대로 전파되어 '''언루 복사'''로 관찰될 것이라는 견해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보편적인 것은 아니다.
언루 복사의 존재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Smolyaninov는 이미 관찰되었다고 주장하는 반면,[19] O'Connell과 Ford는 전혀 방출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20]
5. 1. 호킹 복사와의 관계
스티븐 호킹이 유도한 호킹 온도는 언루 온도와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7] 호킹 온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는 블랙홀의 표면 중력이다.[7]
등가 원리에 따르면, 언루 효과는 호킹 복사의 지평선 근처 형태로 볼 수 있다. 린들러 시공간에는 지평선이 존재하며, 비극단 블랙홀의 지평선은 국소적으로 린들러 지평선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언루 효과를 통해 블랙홀 및 우주의 지평선의 국소적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29]
5. 2. 붕괴율 변화
언루 효과는 가속하는 입자의 붕괴율을 관성 입자와 다르게 만든다. 전자와 같은 안정적인 입자도 충분히 높은 속도로 가속할 때 더 높은 질량 상태로 전이될 확률이 0이 아닐 수 있다.[16][17][18][33][34][35]6. 언루 복사
언루 복사는 가속하는 관찰자가 감지하는 열적 배경 복사이다. 양자장론에서 "진공"은 "빈 공간"이 아니라, 우주를 구성하는 양자화된 장의 가장 낮은 에너지 상태이다. 서로 상대적으로 가속하는 관찰자는 다른 시간 좌표를 가지므로, 서로 다른 양자 상태, 즉 서로 다른 진공을 보게 된다. 가속하는 관찰자는 겉보기 사건의 지평선을 인지하며, 언루 복사는 이러한 겉보기 사건의 지평선과 연결될 수 있다. 이는 호킹 복사와 동일한 개념적 틀에 놓일 수 있다.[9]
언루 복사의 존재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널리 받아들여지고는 있지만 보편적인 것은 아니며, 검출기의 각 전이는 입자의 방출을 동반하며 이 입자는 무한대로 전파되어 언루 복사로 관찰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스몰야니노프(Smolyaninov)는 이미 관찰되었다고 주장하는 반면,[19] 오코넬(O'Connell)과 포드(Ford)는 전혀 방출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20] 회의론자들은 가속하는 물체가 언루 온도에서 열화된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광자의 방출은 흡수율과 방출률이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일어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7. 실험적 검증
소콜로프-테르노프 효과[21]를 성공적으로 감지한 실험이 특정 조건에서 언루 효과도 감지할 수 있다고 연구자들은 주장한다.[22]
2011년의 이론 연구에 따르면, 현재 기술로도 가속하는 검출기를 사용하여 언루 효과를 직접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23]
2019년, CERN의 NA63 실험에서 연구된 고에너지 채널링 방사선에서 언루 효과가 처음으로 관찰되었을 수 있다.[24]
참조
[1]
논문
The Fulling-Davies-Unruh Effect is Mandatory: The Proton's Testimony
[2]
논문
Nonuniqueness of Canonical Field Quantization in Riemannian Space-Time
[3]
논문
Scalar production in Schwarzschild and Rindler metrics
[4]
논문
Notes on black-hole evaporation
[5]
논문
Vacuum Noise and Stress Induced by Uniform Acceleration: Hawking-Unruh Effect in Rindler Manifold of Arbitrary Dimensions
1986
[6]
서적
Physics meets Philosophy at the Planck Sca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논문
Black hole explosions?
https://www.nature.c[...]
1974
[8]
논문
Simplified derivation of the Hawking–Unruh temperature for an accelerated observer in vacuum
[9]
서적
Quantum (Un)Speakables: From Bell to Quantum Inform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10]
논문
Interaction of Hawking radiation with static sources in de Sitter and Schwarzschild--de Sitter spacetimes
https://link.aps.org[...]
2003-10-31
[11]
논문
On the Unruh Effect in de Sitter Space
[12]
논문
Probing the Unruh effect with an accelerated extended system
https://www.nature.c[...]
2019
[13]
서적
An introduction to black holes, information, and the string theory revolution: The holographic universe
World Scientific
2005
[14]
논문
Experimental Unruh radiation?
[15]
논문
Hawking-like effects and Unruh-like effects: Toward experiments?
[16]
논문
Decay of accelerated particles
[17]
논문
Decay of accelerated protons and the existence of the Fulling-Davies-Unruh effect
[18]
논문
Analytic Evaluation of the Decay Rate for Accelerated Proton
[19]
논문
Photoluminescence from a gold nanotip in an accelerated reference frame
[20]
논문
Is there Unruh radiation?
[21]
논문
Electrons as accelerated thermometers
https://cds.cern.ch/[...]
1983
[22]
논문
On the physical meaning of the Unruh effect
[23]
논문
Using Berry's Phase to Detect the Unruh Effect at Lower Accelerations
[24]
논문
Experimental Observation of Acceleration-Induced Thermality
[25]
논문
Nonuniqueness of Canonical Field Quantization in Riemannian Space-Time
[26]
논문
Scalar production in Schwarzschild and Rindler metrics
[27]
논문
Notes on black-hole evaporation
[28]
서적
Physics meets Philosophy at the Planck Sca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논문
Simplified derivation of the Hawking–Unruh temperature for an accelerated observer in vacuum
[30]
서적
Quantum (Un)Speakables: From Bell to Quantum Inform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31]
논문
Experimental Unruh radiation?
[32]
논문
Hawking-like effects and Unruh-like effects: Toward experiments?
[33]
논문
Decay of accelerated particles
[34]
논문
Decay of accelerated protons and the existence of the Fulling-Davies-Unruh effect
[35]
논문
Analytic Evaluation of the Decay Rate for Accelerated Proton
[36]
논문
Photoluminescence from a gold nanotip as an example of tabletop Unruh-Hawking radiation
[37]
논문
Is there Unruh radiation?
[38]
논문
Electrons as accelerated thermometers
1983-02-07
[39]
논문
On the physical meaning of the Unruh effect
[40]
논문
Using Berry’s Phase to Detect the Unruh Effect at Lower Accelerations
[41]
저널
Nonuniqueness of Canonical Field Quantization in Riemannian Space-Time
1973-05-15
[42]
저널
Scalar production in Schwarzschild and Rindler metrics
http://cosmos.asu.ed[...]
2008-07-19
[43]
저널
Notes on black-hole evaporation
http://www2.lns.mit.[...]
1976-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